(커피리뷰) 콜롬비아 후일라 미라플로레스 핑크 버번 워시드 - 라 카브라 정기구독(22.08)
(Coffee Review) Colombia Huila Miraflores Pink Bourbon Washed - La Cabra Subscription (22.08)
#선명한 꽃향 #붉은 계열의 베리
#Crisp florals #Red berries
원두 정보
원두 구입처 Seller |
라 카브라 La Cabra |
|
원두 단가 Bean Price |
21,000원 (250g) 117 DKK (250g) |
|
생두 수입사 Green Bean Importer |
라 카브라 La Cabra |
|
지역 Region |
콜롬비아 후일라 미라플로레스 Colombia Huila Miraflores |
|
생산고도 Altitude |
1,600 ~ 1,800m | |
품종 Variety |
핑크 버번(부르봉) Pink Bourbon |
|
가공방식 Process |
워시드 Washed |
|
수확시기 Crop Year |
2022.11. | |
로스팅 배전도 Roast |
약배전 (노르딕) Light (Nordic st. Roasted) |
|
구독 이야기
라 카브라(La Cabra)는 이번달(2022년 8월) 커피 재배 지역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후일라(Huila) 지역의 두 가지 원두를 소개합니다. 요즘 콜롬비아 커피의 괄목할만한 발전은 후일라 지역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라 카브라는 콜롬비아의 바로 이 후일라 지역의 커피 중 두 종의 커피에 주목했습니다. 야생의 후일라 떼루아(terroir)를 그대로 표현하고 있는 알토 시엘로(Alto Cielo)와 콜롬비아 커피생산자들이 개발한 새 품종 핑크 버번(Pink Bourbon)을 재배하는 미라플로레스(Miraflores)가 그것입니다.
This month La Cabra is sharing two examples of the fast moving coffee growing community of Huila. Many of the new developments we see in Colombian coffee have their roots in Huila, and this month, La Cabra is focussing on two of them. Alto Cielo with it's wild expression of the Huila terroir and Miraflores, the Pink Bourbon that examplifies the willingness of Colombian coffeeproducers to experiment with new varietals.
지역 이야기
후일라(Huila)에서 재배되는 커피는 다음의 몇 가지 이유로 커피 업계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습니다. 첫째로, 후일라의 산악 지대는 높은 고도와 다양한 미세기후(Microclimates)를 제공하여 지역의 원두에 다양한 풍미 스펙트럼을 제공합니다. 또한 평균 1~3헥타르 규모의 소규모 농장이 이 지역 커피의 대부분을 생산하고 있어 커피의 다양성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곳의 소규모 농장들은 자체적으로 커피 처리 시설(Processing facilities)를 갖추고 있어 발효, 세척, 건조까지 컨트롤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한편, 1930년대부터 시작된 커피 재배자 연합(NFC : The National Federation of Coffee Growers)이 구축한 커피 유통 구조를 통해 이 지역의 개별 농부들이 직접 커피 시장에 접근 할 수 있으며, 이는 커피 벨트 내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체계화된 유통 구조입니다. 콜롬비아의 농부들은 커피 농업 기술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고, 커피 소비자들은 마이크로랏(Micro-lots)의 생산/유통 이력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Coffees grown in Huila are highly prized in our industry for several reasons. The mountainous terrain provides high altitudes and varying microclimates, leading to a diverse flavour spectrum throughout the area. Diversity is also encouraged by the large number of small farms, with those averaging between 1 and 3 hectares producing much of the coffee in the region. The small farms here mainly have their own processing facilities, both wet mills, where the coffee is pulped, fermented and washed, and space for drying the coffees.
The structures put in place by the National Federation of Coffee Growers (NFC) starting as far back as the 1930’s mean that individual farmers here have an access to the market not seen in many other countries in the coffee belt. Information on farming techniques is readily available, and the dry-milling and export system in Colombia has been built from the ground up to deal with micro-lots, down to the work of one single farmer.
지금 후일라는 스페셜티 커피 재배 지역으로 많이 알려 졌지만, 커피 재배 전체 역사 속에서 커피가 이 지역에서 재배되기 시작한 지는 얼마되지 않았습니다. 커피가 재배되기 이전 후일라는 이 지역에서 행해지던 전통적인 농업을 통해 화학비료와 농약으로 오염되지 않은 토양을 오래도록 유지해왔으며, 콜롬비아의 가장 높은 화산인 네바도 델 후일라(Nevado del Huila)의 근처에 위치하여 화산재 성분을 기반으로 한 풍부한 떼루아(Terroir)를 가지고 있습니다.
낮과 밤의 큰 일교차를 가진 후일라의 높은 고도는 커피 등 다양한 꽃과 열매의 성장이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돕습니다. 그리고 후일라의 저지대에 위치한 정글 지역의 시원하고 습한 공기 또한 커피 열매의 성장을 연장시킵니다. 이러한 기후 특성은 커피를 재배하기 어려운 요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매우 복잡하고 강렬한 컵노트를 가진 커피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합니다.
Although Huila is well known in speciality circles, coffee arrived here much later, leading to soils which haven’t been exhausted by years of conventional agriculture, and its chemical fertilisers and pesticides. The soil here also has a volcanic element; Colombia’s highest volcano, Nevado del Huila, lies in the north of the region. There is also plentiful high altitude in Huila. The Colombian Andes split into 3 distinct ranges here, the eastern, western and central ‘cordilleras’.
This high altitude leads to large day-night swings in temperature, which slows cherry maturation. Further down into the valley between the cordilleras, lies a large area of jungle. Weather systems carry cool, moist air from the jungle up into the coffee growing lands, further lengthening the cherry maturation. This leads to very intense, sweet and complex cups, but also to the main challenges of producing coffee here. The cool temperatures and high level of humidity mean that drying coffee can be a very difficult prospect here, and harvest schedules are long and unpredictable, leading to high labour costs for several rounds of picking.
원두 이야기
에드윈 마조라(Edwin Mazorra)는 아버지와 함께 미라플로레스(Miraflores) 지역의 땅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이 지역의 땅을 구입하며, 이 곳에 있던 일반 품질의 상업용 커피 농장의 소유권도 함께 구입하였습니다. 미라플로레스가 있는 후일라(Huila) 지역은 비옥한 토양을 가진 지역으로 전통적인 방식의 농업을 통해 그 비옥함이 대대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뛰어난 배경 덕분에 이곳에서 특별한 커피 품종을 재배하는 전문적인 커피 농장의 운영이 가능했습니다. 그들은 이미 커피 농장을 운영하고 있던 친구들의 경험담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핑크 버번(PInk Bourbon) 계열의 여러 품종을 재배하기 시작했습니다. 핑크 버번의 가장 큰 단점은 매우 긴 나뭇가지로 인해 커피나무의 재배 간격이 넓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농장의 수확량(생산성)이 다른 품종에 비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점을 극복하기 위해 에드윈은 재배 기술, 토양 품질 관리 등 커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꾸준히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드리는 미라플로레스 농장의 랏(Lot)은 2021년 11월에 수확했습니다. 에드윈과 그의 체리 피커팀은 가장 잘 익은 체리만을 수확하기 위해 커피나무를 오래 지켜보며 수확기간을 길게 가져갔습니다. 2021년의 콜롬비아는 커피 수확철에 유난히 높은 습도를 보여 체리의 성숙이 느리고 다소 고르지 않았기 때문이었습니다. 에드윈은 커피 체리 수확 이후에도, 체리들을 물에 띄워 밀도가 높은 체리를 선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렇게 선별된 체리는 디펄프, 3~4번의 세척, 건조의 과정을 거친 뒤 36시간 동안의 발효를 거쳐 완성되었습니다.
이러한 까다로운 과정을 통해 완성된 커피는 핑크 버번이 가진 고유한 향미를 선명하게 표현하고 있는데, 열대 과일 노트와 꽃 향기 그리고 강렬한 붉은 계열의 베리가 그 것입니다.
Edwin Mazorra owns Miraflores together with his father. They purchased the land together, taking ownership of a rather poorly managed commodity coffee farm. Here in Huila, the soils are full of nutrition, and haven’t been exhausted by generations of conventional agriculture, with its chemical pesticides and fertilisers, which made converting the farm to a high end speciality operation possible, although with a great deal of hard work required. They planted several new varietals, with a focus on Pink Bourbon, inspired by many stories of excellent experiences from friends. One disadvantage of Pink Bourbon is its very long branches, meaning it has to be planted with greater spacing than most Colombian varietals. This meant yields on the farm dropped, leading Edwin to look for other ways to add value to his coffee, participating in trainings on processing techniques, soil health, and wider sustainability on his farm, all in an attempt to chase the high quality and high prices of the speciality market.
This lot was picked in November 2021. Edwin and his team of pickers need to make several passes over the farm to ensure only the ripest cherries are removed from the tree; the wet conditions in Colombia this harvest season meant that cherry maturation was slow and rather uneven. The cherries are first floated in clean water, enabling low density ‘floaters’ to be removed. The outer cherries are removed by a de-pulper, before the coffee is fermented for 36 hours, washed 3-4 times, and dried in well-ventilated parabolic driers.
This exacting process leads to a clean expression of the Pink Bourbon varietal, showcasing its crisp tropical fruit notes and floral aromas, alongside intense and fresh red berries in the cup.
후기
처음으로 해외 로스터리의 원두를 정기 구독해보았습니다. 라 카브라(La Cabra)라는 덴마크 로스터리인데, 정기구독 시 500g에 약 4만원 정도로 국내 로스터리와 비교해도 전혀 나쁘지 않은 가격이라 시도해보았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앞으로 계속 구독을 유지할 예정입니다. 질리면 잠시 세이커피나 커피 콜렉티브로 구독을 옮겨 가면서 :)
라 카브라를 포함한 해외 로스터리 원두 정기구독 방법은 글 최하단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라 카브라(La Cabra)는 염소란 뜻입니다. 우리나라 지퍼백과는 감성부터 달라서 해외 로스터리 느낌이 패키징에서부터 느껴집니다. 그리고 염소가 그려진 박스를 열어보면 250g 씩 들어있는 정기구독 원두 두 종이 개별 포장되어 있습니다.
2022년 8월, 이번 달의 정기구독 원두 2종은 모두 콜롬비아 후일라 지역의 원두입니다. 하나는 "콜롬비아 후일라 알토 시엘로 게이샤 내추럴"이고, 다른 하나는 "콜롬비아 후일라 미라플로레스 핑크 버번 워시드"입니다.
정말 밝은 포인트로 로스팅 하는 노르딕 로스터리 답게, 가장 맛있는 지점이 로스팅 후 1개월 뒤 입니다. 심지어 상미기간은 1개월~3개월까지라고 하니 놀랍습니다. 8월의 정기구독 원두를 9월이 되어서야 올리는 것도 이렇게 긴 디개싱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국내 로스터리 중에는 타셋 로스터리나 로스터리 향초의 원두가 노르딕에 가깝게 밝은 편인데, 그것들보다 훨씬 밝습니다. 타셋도 갈면서 뻑뻑해서 멈춘 적은 없었는데, 노르딕 로스팅 원두는 갈다가 힘이 빠져 삐그덕 거리며 갈았습니다. 그나마 라 카브라에서 가이드하는 하리오 V60 1인분 레시피가 지난 에어로프레스와 동일하게 14.5g의 원두만 사용해서 다행이었습니다.
이번 구독으로 함께 온 "알토 시엘로"와 비교하면 "미라플로레스"는 깨끗하고 선명한 향과 맛을 가진 커피였습니다. 워시드 프로세싱답게 분쇄 전에는 복잡하지 않고 선명한 꽃향과 달달한 과일향이 느껴졌습니다. 라 카브라에서 제공하는 V60 레시피를 통해 내린 뒤 마셔보니, 바디감과 단맛은 알토 시엘로보다 약했지만, 꽃향과 복숭아향이 아주 선명하게 느껴져 티라이크한 느낌으로 가볍게 마시기 좋았습니다.
4주 간의 디개싱 후 처음 마신 뒤, 7주까지 향미가 달라졌을 뿐 약해진다는 느낌은 받지 못했습니다. 약 두달 이후부터 향미가 조금 떨어지긴했지만, 글을 작성하고 있는 10주차인 지금 시점에도 사료급으로는 나쁘지 않은 느낌입니다.
브루잉 노트
장비 Tools |
Helor 101 Grinder (24 clicks) Hario V60 |
원두 양 Dose |
14.5g |
물 온도 W.Temp. |
95℃ |
물 양 및 추출시간 W. Weight & Brewing Time |
60g(뜸) - 55g(0:45) - 55g(1:30) - 40g(2:15) - 추출종료(3:30) 60g(Bloom) - 55g(0:45) - 55g(1:30) - 40g(2:15) - Drained(3:30) |
노트 Cup Note |
시음 전 : 과일향 시음 후 : 꽃향, 복숭아 Before tasting : Fruity After tasting : Floral, Peach |
참고
Reference
https://www.lacabra.dk/pages/discovery-subscription-2022-8-huila
Huila - Discovery Subscription
This month we are sharing two examples of the fast moving coffee growing community of Huila. Alto Cielo is an excellent example of the work we have seen in processing, with the advent of the natural process in Huila. Miraflores showcases the willingness of
www.lacabra.dk
라 카브라(La Cabra) 및 해외 로스터리 원두 정기구독 방법
https://archytech.tistory.com/8
해외 로스터리 원두 정기 구독 비교 (노르딕 편)
해외 로스터리/카페 원두 정기구독 비교 Comparison of overseas Roasteries and Cafe's Coffee Beans Subscriptions 국내에서 원두 정기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스터리(커피 리브레, 빈브라더스 등)도 많지만,..
archytech.tistory.com
'Coffe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리뷰) 디카페인 같지 않은 콜롬비아 후일라 워시드 디카페인 - 아이덴티티커피랩 (1) | 2022.10.07 |
---|---|
(커피리뷰) 콜롬비아 리나르코 로드리게즈 핑크 버번 워시드 - 라 카브라 정기구독(22.09) (1) | 2022.10.06 |
커피 원두 보관용기 & 보관방법 종결 (2) | 2022.09.15 |
(커피리뷰) 콜롬비아 라 에스페란자 세로아줄 게이샤 허니 - 스탠다웃 정기구독(22.08) (2) | 2022.09.15 |
(커피리뷰) 콜롬비아 알토 시엘로 게이샤 내추럴 - 라 카브라 정기구독(22.08) (0) | 2022.09.05 |